Charting Skill Contest
최근 수정 시각:
알림
현재 진행 중인 사용자 토론이 있습니다.
분류
Charting Skill Contest | ||
| 정식 명칭 | ||
Charting Skill Contest | ||
| 종류 | ||
중고렙 채보 제작 대회 | ||
| 주최자 | ||
1. 개요[편집]
Charting Skill Contest는 불과 얼음의 춤의 중고렙 채보 제작 대회이다.
2. 특징[편집]
Charting Skill Contest, 약칭 CSC는 대한민국의 불과 얼음의 춤 레벨 제작자 Fir3ns가 개최한 대회이다.
현재까지 총 세번의 시즌이 진행되었다.
모든 시즌에서 총점은 200점으로 채점이 되며, 시즌과 라운드마다 분야별로 배점이 조금씩 변경된다.
현재까지 총 세번의 시즌이 진행되었다.
모든 시즌에서 총점은 200점으로 채점이 되며, 시즌과 라운드마다 분야별로 배점이 조금씩 변경된다.
3. CSC SEASON 1[편집]
대회 진행 기간 : 2022년 11월[1] ~ 2022년 12월 6일
우승 상품으로 2만원과 CDF 2의 채보 제작자로 참여할 수 있는 기회가 주어지게 된다.
심사위원으로는 Fir3ns, Editor AlriC, Nephrolepis, 정현수, 이린이 참여하였고, 영상 편집은 Editor AlriC, Nickname, Fir3ns가 각각 순서대로 한 라운드씩 맡았다.
우승 상품으로 2만원과 CDF 2의 채보 제작자로 참여할 수 있는 기회가 주어지게 된다.
심사위원으로는 Fir3ns, Editor AlriC, Nephrolepis, 정현수, 이린이 참여하였고, 영상 편집은 Editor AlriC, Nickname, Fir3ns가 각각 순서대로 한 라운드씩 맡았다.
3.1. 1라운드 : 타일 수 제한 조별리그 [편집]
3.2. 2라운드 : 금지곡 합작 차팅 [편집]
3.3. 결승 : 6분 이상 변속곡 차팅 [편집]
4. CSC SEASON 2[편집]
대회 진행 기간 : 2023년 7월 12일 ~ 2023년 9월 28일[2]
두번째 시즌은 우승 상품 없이 진행되었다.
심사위원으로는 Fir3ns, 정현수, 새제비, Daccaplores, PELEX가 참여하였고, 영상 편집은 Fir3ns가 모두 맡았다.
디스코드 서버 아이콘, 예선 모집과 결과 발표 썸네일에 쓰인 이미지는 Editor AlriC이 제작하였다.
두번째 시즌은 우승 상품 없이 진행되었다.
심사위원으로는 Fir3ns, 정현수, 새제비, Daccaplores, PELEX가 참여하였고, 영상 편집은 Fir3ns가 모두 맡았다.
디스코드 서버 아이콘, 예선 모집과 결과 발표 썸네일에 쓰인 이미지는 Editor AlriC이 제작하였다.
4.1. 1라운드 : 눈치게임전 [편집]
4.2. 2라운드 : 디버프전 [편집]
4.3. 결승 : 기믹전 [편집]
5. CSC SEASON 3[편집]
5.1. 예선 (참가자 모집) [편집]
예선은 지정된 곡으로 차팅하여 구글 폼으로 제출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 지정곡 ]
[ 지정곡 ]
[ 결과 ]
5.2. 8강 : 조별리그 합작 [편집]
8강에서는 지정곡 중 조별로 곡을 하나씩 골라 파트별 차팅 합작을 해 각 조별로 점수가 가장 높은 2인, 총 4인이 결승에 진출하게 된다.
[ 지정곡 ]
[ 결과 ]
5.3. 결승 : 개인전 디버프 차팅 대결 [편집]
결승에서는 지정곡 중 하나를 골라 각 참가자가 2가지의 디버프를 정한 뒤 랜덤으로 다른 참가자에 넘겨주어 받게 된 디버프를 적용하여 차팅해 최종 결과를 가리게 된다.
[ 지정곡 ]
[ 지정곡 ]
[ 결과 ]
번호 | 참가자 | 디버프 | 전달자 | 점수 | 선곡 번호 | 비고 |
1번 | 이창빈 | 토끼/달팽이 사용 금지 & 소용돌이 사용 금지 | 0 | 없음 | 기권 | |
2번 | 카메라의 기본 좌표를 글로벌 (0,0)으로 설정하고, 이동시키지 않기 & 모든 비트 일시정지가 3 이상의 카운트다운을 가지게 하기 | 169.50 | 1 | |||
3번 | 동타 사용 시 3동타만 사용 (2동타 사용 금지) & 변속을 정할 때 승수만 쓰되, 2, 0.5 이외 사용 금지 | UREFF | 163.25 | 1 | ||
4번 | UREFF | 소용돌이 사용 갯수 50개 이하 & 비트 일시정지 금지 | 이창빈 | 133.40[15] | 1 |
6. 여담[편집]
- 공교롭게도 이 대회의 모든 시즌이 원래 계획했던 라운드보다 축소되어 진행되었고, 결승에서 무조건 한명이 기권을 했다는 공통점이 있다.
[1] 기존에 대회를 진행하던 디스코드 서버가 삭제되어 언제 시작했는지 정확하게는 알 수 없다.[2] 원래 8월 17일에 끝날 예정이었으나 주최자의 개인적인 사정으로 결과 발표가 연기되었다.[3] 원래 3월 2일에 끝날 예정이었으나 참가자 수의 저조로 인해 라운드와 함께 기간이 축소되었다.[4] 원래는 우승 7만원, 준우승 3만원이었다가 우승 5만원, 준우승 2만원으로 한번 축소된 뒤에 또 축소되어 정해진 금액이다.[5] 차팅 난이도가 너무 높아 후술할 대체곡이 생긴 이후 이 곡으로 그동안 예선에 참여한 모든 참가자들에게 5점이 추가적으로 더 부여되게 된다.[6] 첫번째 지정곡이 차팅 난이도가 너무 높아 참가자 수가 저조해 후에 추가된 대체곡이다. 그러나 대체곡을 추가한 이후에 참가자 수가 그렇게 많이 늘지는 못하였다.[7] 난이도 이슈로 원점수의 80%만 반영[탈락] 8.1 8.2 8.3 8.4 8.5 8.6 8.7 [9] 미완성 이슈로 원점수의 60%만 반영[15] 디버프 미준수로 (일시정지 사용) 점수의 80%만 반영
모든 문서는 CC BY-NC-SA 4.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습니다.